본문 바로가기
투자 필수 지식 및 용어

한 눈에 보는 리스크 측정 방법, '아니, 많이 벌면 좋은거 아니에요?'

by Adam Lee 2021. 9. 15.
728x90

(Shortfall Risk) :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지 못할 확률을 계산

 

우리가 목표를 초과 달성하면 그건 '리스크'일까? 

구하는 식은 대충 이런데, 어차피 이해 안 되니까 보고 넘겨!

 

 

H:목표 수익률, t : 5%

 

가능성 [(r(p)<=H)] <= t

 

 

  • 95% 확률로 수익률을 내 '목표 수익률'에 달성할 수 있는 확률을 측정하므로 리스크를 측정할 수 있는 거야.
  • 이런 걸 유식하게 'Goal-Based portfolio'라고 불러.
  • 식만 봤을 때는 어려우니까 손으로 천천히 따라서 써봐.

 

우리 목표 수익률이 10%인데, 15%의 수익을 거둔다면, 그건 '리스크'야! 

 

왜냐하면, 10% 수익을 목표로 일해왔는데, 15%의 수익률을 거뒀다는 것은 더 큰 위험을 무릅쓴 거거든.

예를 들자면, 우리의 삼성전자 주식이 10% 수익이었는데, 만족하지 못하고 위험을 껴안고 5% 수익을 더 먹으려고 한 거지.

 

그럼 주변에서 친구가 이렇게 말하지 않겠어? "야, 위험하니까 이제 팔아! 단기 고점이야" 

리스크 테이킹도 하나의 리스크라고 볼 수 있는 거야!

 

 

그러면 3개월짜리 10퍼센트 목표로 삼은 투자에서 1개월 만에 목표 수익률을 달성했다면, 투자자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?

 

바로 현금으로 바꾸고, 유지하고 있는 것이 '목표 지향 투자'야. 

 

그렇기에 우리는 누군가가 리스크를 측정해달라고 할 때, 이렇게 대답할 수 있어야 해.

 

 

'목표 수익률이 얼마입니까?'

 


 

경우에 따른 리스크 관리 4 계명

구분 손실 빈도
낮은 빈도 높은 빈도
손실 심도 낮은심도 리스크보유 리스크 감소
높은 심도 리스크전가 리스크 회피

 

리스크 보유 : 손실 빈도와 손실 심도가 모두 낮을 때, 우리가 오천 원만 투자했는데, 상장폐지가 되었어, 별로 마음이 안 아프겠지?

리스크 회피 : 빈도도 높고 심도도 높을 때는 리스크를 회피해야 해. 예를 들자면, 전쟁국가에는 놀러 가지 않는 게 상책인 거지.

리스크 감소 : 손실 빈도 또는 손실 심도를 줄이는 방법 CCTV를 설치하거나, 백신을 맞는 것처럼 미리 대처하는 거지

손실 경감 : 불이난 건물의 스프링클러처럼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했을 때, 바로 손실을 줄여버리는 거야

리스크 전가 : 리스크를 남에게 넘기는거야. 예를 들자면 보험.

댓글